아두이노 센서를 이용해 카페 내 좌석 혼잡도를 확인하는 서비스입니다.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여 사람이 지나갈 때마다 인원을 측정해주는 방식입니다. 카페의 좌석 수를 사전에 체크하여 예를 들어 100석 만석이라 가정하였을때,
2023.08 ~ 2023.12
2023 "제 10회 전자정보통신공학과 P.A.E 학술제" 🥇대상
2023 멋쟁이사자처럼 X 세종대학교 창업지원단 IT 창업 기획 컨퍼런스 🥉우수상
-
김남진 : PM
-
김준영 : FE
-
김채원 : BE
-
송성환 : Designer
-
React
- Express
- Github Actions
-
Spring Boot
- REST API
- AWS
- Github Actions
- MySQL
메인 페이지입니다. 해당 화면에서 카페를 클릭 시 화면 하단에서 모달 창이 올라옵니다.
모달 축소 버전입니다. 축소 버전에서는 클릭한 카페에 대한 요약된 정보가 업로드 되어있습니다.
카페의 혼잡도에 따라 컵의 색이 다음과 같이 바뀝니다.
50% 이하의 경우, 초록색
50% ~ 79%의 경우, 노란색
80% 이상의 경우, 빨간색
해당 화면에서 카페에 대한 리뷰 및 평점을 남길 수 있습니다.
- 디자이너와 첫 협업 프로젝트로 디자이너와 소통하는 능력을 기르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학우들과의 협업을 진행하여 작게나마 실무를 경험했다고 생각합니다.
- 카카오 맵 API를 사용하여 지도를 구현하였고 JSX 문법을 이용해 커스텀 오버레이를 생성했습니다.
- 첫 React 프로젝트로 반응형 웹, 비동기 처리 등 React를 깊게 이해했습니다.
- ES6 문법에 대해 깊은 이해했습니다.
- useState, useEffect를 사용하여 JS Hooks에 대해 이해했습니다.
- CRUD를 이용하여 리뷰 및 별점 생성, 삭제, 수정 기능을 구현했습니다.
- Express 서버를 사용하여 자동 배포에 대해 자세히 알게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AWS를 이용한 배포를 하기 위해 AWS에 대해 깊게 공부했습니다.
- module.css를 사용하면 다른 js파일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 Modal 구현 및 애니메이션에 대한 깊은 이해를 했습니다.
- 커스텀 오버레이를 생성하여 카카오 맵에서 제공하는 핑 대신 커스텀 핑을 생성했습니다.
- 컴포넌트 분리를 통해 PC & Mobile 버전의 css를 분리했습니다.
- Github ci/cd를 사용하려고 했으나 실패했습니다.
- 아두이노 기계 장비 오류로 인해 더 이상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못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