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sonal git/github guideline about commit convention, git flow, issue/pull-request templates, etc.
- Commit Convention
- Git Flow & Branch
- Issue
- Pull Request
- Actions
- Wiki
- Troubleshooting
- Tips
- 이제 뭘하면 되나요?
커밋은 작업자가 직접 작업한 내용에 대해 커밋을 합니다.
커밋은 작업 하나의 단위가 되어야 합니다. 행동 하나의 단위가 되어서는 안됩니다.
예를 들어, Case A
는 가능하지만 Case B
는 커밋의 단위로 권장하지 않습니다.
Case A
- CLI로 Vue.js 프로젝트를 설치한 경우
- 오타를 고친 경우
- 여러 개의 Dependency를 설치하여 프로젝트 기반을 만든 경우
- 하나 이상의 Dependency를 설치하고 프로젝트 어딘가에 정의, 적용한 경우
Case B
- Dependency를 설치한 경우
커밋은 임시로 저장 해두기 위한 장치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git stash 커맨드 사용을 권장합니다.) 즉, 모든 커밋은 개발 당시에 완결된 코드만이 올라가야 합니다.
상세한 커밋 메세지를 작성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습관적으로
-m
옵션을 붙이고 single-line 커밋을 지양하도록 합니다. (당연하게도-m
이 multi-line 커밋을 작성할 수 없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여기서는 좀 더 상세한 커밋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입력창으로 들어가 작성하는 것을 습관들이기 위함입니다.)
누구나 봤을 때 이해할 수 있도록 영어로 작성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어디까지나 권장일 뿐, 강제 사항은 아니며, 사내에서 사용하는 경우나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하기 편한 언어로 서술하는 게 전달이 명확한 경우도 있습니다. 대신, 오픈소스를 개발하고자 한다면, 영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는 이 레포지토리에서 제안하는 커밋 컨벤션입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컨벤션은 가장 기본적인 컨벤션입니다.
상황에 따라 다양한 포맷을 사용할 수 있고, 이미 사용하고 있는 컨벤션이 있다면 다음으로 넘어가주세요.
-
기본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는 optional field를 의미합니다.<Commit Title> <Commit Body> - <?Commit Detail> <Commit Footer>
-
모든 줄은 문장으로 구성되며, 첫 문자는 대문자로, 첫 단어는 현재형 동사로, 마침표는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기타 기호 또는 특수문자(emoji 포함)는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용을 권장하지 않습니다.
- 예외사항
- 메소드명
getMessage()
- 파일명
getMessage.js
- 메소드명
- 예시
Fix calculation in process.uptime()
- 예외사항
-
세 줄 이상 작성해야 하고, 커밋의 두 번째 줄은 반드시 비워야 합니다. 세 번째 줄의 항목부터 상세 내용을 추가(
-
+ 내용)할 수 있습니다.- 예외사항
- 오타 수정
Fix typo
- 오타 수정
- 예시
Prevent multiple connection errors Catch error caused by network error - Use try catch expression
- 예외사항
-
이슈가 해결된 내용은 커밋 최하단에
Fix #7
와 같은 용법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또는 PR로 올라갈 커밋이 아니라면 간단히 메세지 뒤에
(#7)
과 같이 reference 할 수 있습니다. -
커밋의 제목 또는 본문에 가장 먼저 나타나는 현재형 동사는 다음을 사용합니다.
- Fix [기능수정]
Fix A
: A 수정Fix A in B
: B의 A 수정Fix A which B/Fix A that B
: B인 A 수정Fix A to B/Fix A to be B
: B를 위해 A 수정 | B하기 위해 A 수정Fix A so that B
: A 수정해서 B (B 상태 강조)Fix A[issue|error|crash] where B
: B하는 A 수정Fix A when B
: B에 발생하는 A 수정
- Add [추가(코드/테스트/문서)]
Add A
: A 추가Add A for B
: B를 위한 A 추가Add A to B
: B에 A 추가
- Remove [삭제(코드/문서)]
보통 (unnecessary|useless|unneeded|unused|duplicated) + A 형태
Remove A
: A 삭제Remove A from B
: B에서 A 삭제
- Use [사용]
Use A
: A 사용Use A for B
: B를 위한 A 사용Use A to B
: B에 A 사용 (to-부정사 B 허용)Use A in B
: B에 A 사용 | B 내부에서 A 사용Use A instead of B
: B 대신에 A 사용
- Apply [적용]
Apply A
: A 적용Apply A to B
: B에 A 적용
- Refactor [리팩토링(행위/기능/메소드)]
Refactor A
: A 리팩토링
- Simplify [단순화(행위/기능/메소드)]
Simplify A
: A 단순화
- Update [업데이트/버전 업(문서/리소스)]
Update A
: A 최신화Update A to B
: A를 B로 최신화Update A for B
: B를 위한 A 업데이트
- Change [변경]
Change A
: A 변경Change A into B
: A를 B로 변경
- Improve/Enhance [향상/개선(테스트/커버리지/성능)]
Improve A
: A 향상
- Make [동작 변경]
Make A B
: A를 B하게 하다 (to-부정사 B 허용) | A를 B로 만들다
- Implement [Add 보다 큰 구현]
Implement A
: A 구현Implement A to B
: B에 A 구현
- Correct [(문법/타입 등을) 맞도록 수정]
Correct A
: A를 맞게 하다
- Ensure/Make sure [검증]
Ensure A
: A를 확실하게 하다
- Prevent [접근제한]
Prevent A
: A를 막다Prevent A from B
: A를 B하지 못하게 막다
- Avoid [(조건 등을) 피하다]
Avoid A
: A를 피하다.Avoid A if B/Avoid A when B
: B일 때 A에 걸리지 않도록 하다
- Move [이동(코드/문서)]
Move A to B/Move A into B
: A를 B로 이동하다
- Rename [이름 수정(코드/문서/메소드)]
Rename A to B
: A를 B로 이름을 바꾸다
- Allow [허용]
Allow A to B
: A가 B할 수 있도록 허용
- Verify [검증]
Verify A
: A를 검증
- Set [설정(변수/값)]
Set A to B
: A를 B로 설정
- Pass [파라메터]
Pass A to B
: A를 B로 넘기다
- Disable [비활성화]
Disable A
: A를 비활성화 하다
- Organize [정리]
Organize A
: A 정리
- Fix [기능수정]
Git Flow는 버전 관리 시스템(Version Control System, VCS)의 한 종류인 git을 통해 효율적으로 프로젝트를 관리하고 배포하기 위한 전략이자 브랜칭 관리 전략(Branch Management Strategy) 입니다. 실제 프로덕트를 개발하고 지속적으로 배포하는 조직에서 권장되는 방법이지만, 실제로 개발 조직에 적용하는 방식은 각기 다를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Best Practice를 담으려 노력하였으나, 조직과 프로젝트의 성격에 맞게 조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 섹션에서 말하는 Branch는 Git Flow의 브랜칭 관리 전략을 따르는 브랜치에 대한 설명입니다. 따라서 기본적인 git branch
명령어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지 않습니다. 즉, 기본적으로 branch를 만들고, 이동하며, 삭제하는 등의 기초지식이 요구됩니다.
Git Flow는 GitHub Flow와 다릅니다. 무엇이 더 좋은 지에 대한 논의는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장 먼저 제안된 모델(classic version)은 Git Flow이지만, CI/CD가 존재한다면, 또는 다양한 시도가 필요한 애자일 조직에서는 GitHub Flow를 사용하는 것이 나은 방법인 경우도 있습니다.
Vincent Driessen이 제안한 Git Flow는 다음 PDF로 한 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Git Flow에서는 용도/환경에 따라 브랜치를 구분합니다. 메인 브랜치는 master, develop 브랜치가 해당되며, 그 외에 보조 브랜치는 feature, release, hotfix, bugfix 브랜치 등이 해당됩니다.
-
master
프로젝트의 뿌리가 되는 브랜치로, 해당 브랜치의 HEAD는 production 환경에 배포되었거나, 곧 배포될 예정임(production-ready)을 의미합니다. 실제 서비스에서는 실 서버와 sync가 맞아야 합니다.
master 브랜치에 반영 혹은 병합된다는 것은 새 버전이 배포됨을 의미합니다. 보통 실제 서버로 빌드 & 배포하는 스크립트가 작동합니다. -
develop
다음 배포를 위해 개발되고 있는 코드가 위치하는 브랜치. 실제 서비스에서는 개발 서버 혹은 테스트 서버와 sync가 맞아야 합니다.
develop 브랜치가 안정화되고, 배포 기능이 완성되면, master로 병합됩니다.브랜치 상세 develop 시작브랜치 master 병합브랜치(방향/순서) master 네이밍 규칙 develop -
feature
feature 브랜치는 개발하고자 하는 기능을 개발하는 주축이 되는 브랜치입니다. 만약 애자일 방법론을 채택한 조직이라면, 스프린트 기간 중 하나의 스토리 혹은 하나의 에픽이 이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이 브랜치는 성공적으로 develop에 병합되거나 필요성이 없어진 경우 삭제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네이밍 규칙에서
feature-*
가 본래 권장되는 형식이나, SourceTree 등 GUI 환경에서 폴더구조로 표시된다는 이점 때문에feature/*
로 사용하기도 합니다.브랜치 상세 feature 시작브랜치 develop 병합브랜치(방향/순서) develop / master 네이밍 규칙 feature-* 또는 feature/* -
work
개인별 작업을 위한 브랜치. 이는 Git Flow에 해당하는 내용은 아니지만, optional하게 사용할 수 있는 브랜치로, feature에서 분기되어 기능 개발에 사용되며, 작업자별 원활한 작업을 위해 만드는 것을 권장합니다.일부 조직에서는 fork의 형태로 repository를 분리하는 방법을 채택하기도 합니다.
브랜치 상세 work 시작브랜치 feature 병합브랜치(방향/순서) feature / develop / master 네이밍 규칙 ex) steve-* 또는 steve/*
여기까지 정리해보면 전체적인 브랜치 분기의 depth를 가장 위의 계층부터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master -> develop -> feature/* -> work/*
develop 브랜치에서는 여러 개의 feature 브랜치가 분기될 수 있으며, 하나의 feature 브랜치에는 여러개의 work 브랜치가 분기될 수 있습니다.
아래는 release, hotfix, bugfix 브랜치로, 각각의 상황에 따라 사용되는 보조 브랜치입니다.
-
release
최종 프로덕션으로 올릴 상태가 되었을 때, 이를 master로 반영하기 직전에 생성되는 브랜치. 보통의 경우, develop은 master보다 업데이트 주기가 짧기 때문에, develop에서 작업 중인 한 시점에서 release 브랜치를 생성하여, 최종적인 릴리즈 준비를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진행할 경우, 처음 release가 분기되고 그 이후에 develop에 업데이트 되는 내용들은 다음 release 브랜치가 분기될 때 반영하게 되어, 현재 분기된 release 브랜치에 한해 정확한 범위 내에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게 됩니다.
이 브랜치가 master로 반영될 때, 태그를 이용해 버저닝(versioning)을 진행하는 것을 권장하며, 반영 후에는 develop에도 동일한 내용을 병합합니다.브랜치 상세 release 시작브랜치 develop 병합브랜치(방향/순서) master / develop 네이밍 규칙 release-* 또는 release/* -
hotfix
미리 계획되지 못한 배포를 위한 브랜치. 실제 프로덕션에 장애를 일으킬 정도의 크리티컬(critical)한 이슈가 발생되어 긴급히 수정해야 할 때 사용합니다.
이전 release 브랜치가 master에 반영된 시점(태그로 버저닝된 시점)에서 hotfix 브랜치를 분기하여 이를 master, develop 순으로 반영을 진행합니다.브랜치 상세 hotfix 시작브랜치 master 병합브랜치(방향/순서) master / develop 네이밍 규칙 hotfix-* 또는 hotfix/* -
bugfix
기존에 리포팅된 이슈 혹은 버그를 해결하기 위해 생성되는 브랜치. 보통 fix 브랜치라고 불리기도 하며, 서비스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진 않지만, 기능으로 분류될 수 없고, 버그라 판단되는 경우, 이를 서비스에 반영하기 위해 생성합니다.
보통 develop에서 분기되어 이를 develop, master 순으로 병합되며, 표면적으로는 feature 브랜치와 동일합니다.브랜치 상세 bugfix 시작브랜치 develop 병합브랜치(방향/순서) develop / master 네이밍 규칙 bugfix-* 또는 bugfix/*
이 섹션에서 말하는 '일반적인' 플로우란 릴리즈 혹은 핫픽스와 같은 상황을 제외한 가장 보편적인 상황(common case)을 다룹니다. 조직에 따라 work(개인 작업) 브랜치 대신에 fork하여 사용할 수 있고, merge 전에 rebase를 택할 수도 있습니다. (2.4.1. merge와 rebase 무엇이 정답일까? 참고)
그러니 이 레포지토리에서는 merge 전에 rebase를 하는 병합 플로우, 그리고 브랜치 관리 전략을 강력하게 권장합니다. 해당 방법은 rebase 후에 fast-forward merge를 사용하여 깔끔한 브랜치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뒤에 나오는 2.3.2. 릴리즈 플로우와 2.3.3. 핫픽스 플로우에서도 동일하게 사용합니다.
WIP general flow
WIP release flow
WIP hotfix flow
merge
feature/order에서 분기한 steve/pg 브랜치가 있다고 가정합니다.
[feature/order] git commit -m "a"
[feature/order] git commit -m "b"
[feature/order] git checkout -b steve/pg
[steve/pg] git commit -m "x"
[steve/pg] git commit -m "y"
(a) (b)
feature/order * ----- *
\
steve/pg ----- * ----- *
(x) (y)
위 상태에서 작업 내용을 feature/order로 병합하려 할 때, 만약 다른 팀원이 feature/order 브랜치에 반영한 내용이 없고, 분기 이후로 진행된 커밋이 없다는 것이 origin으로부터 확인되면, fast-forward merge 혹은 non-fast-forward merge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
fast-forward merge를 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steve/pg] git checkout feature/order
[feature/order] git merge --ff-only steve/pg이 경우에는 상위 브랜치에 변경사항이 없으므로 뒤에서 나올 rebase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나올 예시와 다른 점은 상위 브랜치에서 하위 브랜치로 rebase 한다는 점입니다.)
(a) (b) * ----- * \ steve/pg ----- * ----- * feature/order (x) (y)
작업이 완료된 steve/pg 브랜치를 삭제하여 히스토리를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
non-fast-forward를 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m은 merge commit)
[steve/pg] git checkout feature/order
[feature/order] git merge --no-ff steve/pg(a) (b) (m) feature/order * ----- * * ----- \ / steve/pg ----- * ----- * ----- (x) (y)
작업이 완료된 steve/pg 브랜치를 삭제하면 분기된 브랜치의 형태와 그 커밋은 유지되고 브랜치만 삭제됩니다.
하지만, feature/order에 변경사항이 있고 rebase 한 적도 없는 경우, 실질적인 머지 커밋으로만 병합이 가능합니다. 이 때는 non-fast-forward merge와 fast-forward merge 모두 동일하게 커밋이 남게 됩니다.
[steve/pg] git checkout feature/order
[feature/order] git merge steve/pg
(a) (b) (m)
feature/order * ----- * * -----
\ /
steve/pg ----- * ----- * -----
(x) (y)
작업이 완료된 steve/pg 브랜치를 삭제하면 분기된 브랜치의 형태와 그 커밋은 유지되고 브랜치만 삭제됩니다.
rebase
리베이스는 병합(merge)한다는 개념과는 거리가 있지만, 브랜치의 base를 옮겨 다른 브랜치의 내용을 반영한다는 점에서는 비슷합니다.
rebase 작업을 하면서 가장 주의해야 할 것은 rebase 후에 그 rebase를 적용받은 커밋들은 commit hash가 바뀌게 됩니다. 즉, 그렇게 바뀐 커밋이 이미 remote(github 등) branch에 올라갔던 커밋이라면 해당 내용을 (불가피하게) force-push(--force
) 해야 할 것이고, 누군가와 동일한 브랜치에서 협업을 하고 있다면 푸시 후 git reset --hard origin/<branch>
등으로 다시 로컬에 반영이 필요할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개인 브랜치에서는 리베이스를 자유롭게 해도 무방하지만, 다양한 협업과 커밋이 짧은 주기로 이루어진다면 협업에 많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항상 up-stream 설정을 해두고 로컬과 리모트의 상태를 최신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습관적으로 git push
전에 git fetch
와 해당 변경사항을 올바르게 git pull
을 해주어야 합니다.
rebase는 보통 하위 브랜치에서 상위 브랜치를 rebase한다고 표현하며, 현재 브랜치가 "하위 브랜치", 바라보는/병합 브랜치가 "상위 브랜치"가 됩니다. 상위 브랜치의 변경사항을 모두 반영하여, 그 상위 브랜치를 기반(base)으로 하여 현재 브랜치의 base 이후 모든 커밋을 최신화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존의 상태가 다음과 같다면,
(a) (b)
feature/order * ----- *
\
steve/pg ----- * ----- *
(x) (y)
steve/pg에서 feature/order 기준으로 rebase할 수 있습니다.
[steve/pg] git rebase feature/order
f/o가 feature/order, s/p가 steve/pg 브랜치.
(a) (b) (x) (y)
* ----- * ----- * ----- *
(f/o) (s/p)
이때, steve/pg에서 커밋했던 (x), (y) 커밋이 영향을 받습니다. 이미 remote에 올라갔다면 force push로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만약 rebase에서 conflict가 난 경우, 각 파일에서 conflict를 해결하고 rebase를 진행하면 됩니다. rebase는 진행 방법이 현재 브랜치의 커밋을 하나하나 탐색하며, 적용하는 방법이므로, 한 번 rebase를 할 때 각 커밋별로 여러번 해결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신 이와 같이 conflict를 해결하는 것이 공동작업 업무에서도 문제없이 요구사항을 올바르게 반영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steve/pg] git rebase feature/order
[steve/pg] [CONFLICT 발생]
[steve/pg] git add [confilcted file]
[steve/pg] git rebase --continue
여기부터 6. Wiki까지는 GitHub 위주의 내용이지만, 3. Issue와 4. Pull Request는 다른 git hosting service(bitbucket, gitlab 등)에서도 사용되는 것으로 기본적인 개념은 동일합니다. 그러나 여기서는 github 환경을 위주로 설명합니다.
Issue로 등록되는 경우에는 다양한 경우가 있습니다. jira의 ticket처럼 사용할 수도 있고, 버그 픽스를 요구하는 issue가 등록될 수도 있습니다. 특히 오픈소스라면 다양한 내용이 이슈로 등록될 수 있고, 사내 프로젝트에서도 용도가 다양할 수 있습니다. 이 섹션의 목표는 단순히 이슈 하나를 만들고, 발행하는 것이 아니라, github의 다양한 기능들을 이용하여 좀 더 생산성 높게 Issue를 다루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git(혹은 github)은 사용하는 사람, 혹은 조직에 따라 매우 유연하게 사용되어야 합니다. 조직이라면, 개발 조직내 인원 모두가 git과 gitflow에 대한 이해가 되어 있을 때, 제대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 좋은 git commit 메시지를 위한 영어 사전
- GIT을 기반으로 한 프로젝트 개발프로세스
- A successful Git branching model
- Merge Branch - Backlog
- Rebase Branch - Backlog
MIT
stevejkang [email protected]